Just Jay's Blog

카카오페이, 그리고 토스와 같은 핀테크 서비스를 보면

 

카카오페이 대출비교

이런 식으로 여러 금융사에서 대출 금리 비교가 바로 가능하다.

 

그리고 오는 8월부터는 은행 상품부터 대환대출이 가능한데

대환대출이란 기존 대출보다 더 좋은 조건의 금리로 대출을 '갈아탈 수'있게 되는 것이다.

 

아직까지는 핀테크 서비스에서 금리비교만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대환대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카카오페이에서는 39개 금융사를

토스에서는 30개 금융사를 한 번에 비교할 수 있다.

 

금융 소비자는 지금까지 대환대출을 하려면

직접 새로운 대출을 찾아다녀야 했지만

앞으로는 이러한 번거로운 절차와 서류 절차 없이 클릭 몇 번으로 대환대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몇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 같다.

1. 금융사들 간에 금리 경쟁 심화 (수익성 악화)

2. 핀테크의 수수료

 

경쟁

금융사들 간의 대출 경쟁이 심화될 수 있고,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용등급이 높은 사람, 즉 대출을 갚을 능력이 높은 사람에게는 낮은 금리가

대출을 갚기 어려운 사람에게는 높은 대출 금리가 적용된다.

대출을 갚기 어려운 만큼 금융사에서 리스크를 떠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더 낮은 금리를 무리하게 제공하려다가 연체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받게 되면

금융사의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생기게 될 것이다.

 

과거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경우 금융사에서 욕심을 내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무분별한 대출을 제공했다면

이번제는 금융사가 반 강제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사람들에게 대출을 제공해야 살아남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회사의 대출을 받는 사람에게 다른 상품을 연계해 판매하거나 다른 서비스와 연계해 수익 창출을 해 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심화된 경쟁에 의해 대출 쏠림 현상이 생기면 금융사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날지도 모르겠다.

너도나도 낮은 금리를 받고 싶어 하지 비싼 돈을 주고 싶어 하진 않으니까.

 

그러면 결국 또 리스크 관리 문제로 귀결되는 것 같다.

너무 많은 대출이 이루어지면 그것 나름대로도 문제니까.

핀테크 수수료

결국 핀테크의 수수료는 금융사가 지불하고, 이 비용은 금융 소비자가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리가 사는 3,000원짜리 물건에도 생산비, 유통비, 관리비 등 각종 비용이 들어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러면 결국 금융 소비자는 이자비용 +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것인데, 이것이 과연 더 좋은 것인지는 모르겠다.

금융사 자체 서비스 개발

핀테크에 수수료를 지불하는 문제와 '혁신'을 앞세운 핀테크 서비스가 비엔나소시지처럼 출시될지도 모르겠다.

일례로 KB국민은행의 매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KB국민은행 어플리케이션들

왜 이렇게 많은지 일단 모르겠다.

그리고 저 애플리케이션의 많은 부분은 중복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금융사에 적용하면 각 금융사마다 너도나도 혁신적인 핀테크 서비스를 출시하려고 몸부림칠 것 같다.

그리고 소비자는 다시 한번 혼란에 빠지겠지.

서로 중복되는 서비스로 파이 차지하기 경쟁만 심화될 가능성이 벌써 보인다.

 

갑자기 든 생각인데, 오픈뱅킹은 사실 금융사들 간 그 누구도 승자가 되지 않게 하는 협의 같은 게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마저 든다.

 

참고문헌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59&oid=014&aid=0004634373
https://blog.jmagazine.co.kr/1248
반응형